[신년 독자설문 ①] 2014년 IT 시장 전망 긍정적 ‘36%’
상태바
[신년 독자설문 ①] 2014년 IT 시장 전망 긍정적 ‘36%’
  • 오현식 기자
  • 승인 2014.01.03 10:0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정교한 IT 육성 정책 ‘절실’ … 여전히 혼선 많고 비효율적

IT의 새로운 변화를 맞이하는 시점, IT의 사용자이자 소비자인 동시에 국내 IT 산업의 구성원인 DataNet 독자를 대상으로 2014년 IT 트렌드를 알아보는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설문에 참여한 232명의 독자제위께 진심으로 감사를 드리고, 설문 결과를 3회에 걸쳐 게재한다. <편집자>

2013년 우리나라 IT 산업은 어느 때보다 힘겨운 한 해를 보냈다고 평가된다. 기나긴 경기부진의 터널은 성장을 기록하던 IT의 상승세마저도 꺽이게 만들면서 닷컴붕괴, 글로벌 금융위기에 이어 국내 IT 산업 성장률을 마이너스로 만들었다. 나아가 그동안 시장침체 속에서도 성장세를 이끌던 스마트폰 시장이 숨고르기에 들어가는 등 2014년의 전망도 그리 밝지 않다는 점은 또다른 불안요소다.

그렇지만 터널에도 끝이 있고, 터널의 끝에는 환한 빛이 기다린다. 클라우드와 모바일, 그리고 빅데이터라는 새로운 트렌드의 등장은 IT를 다시금 꽃피울 수 있는 원동력으로 기대를 모은다. 비용절감, 연속성과 민첩성 강화라는 화두에 대응해 클라우드 컴퓨팅, 모바일 기기 활용 극대화, 그리고 빅데이터를 통한 비즈니스 통찰력 향상 등 기존의 IT의 새로운 변화가 요구되고 있어 이를 기반으로 새로운 도약을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정교한 IT 육성 정책 ‘절실’
2013년 IT 침체는 근무 기업의 상황을 물었던 문항에서도 드러났다. ‘연초 제시한 목표를 달성했다’는 응답은 전체 응답자의 14.7%에 그쳤던 반면, ‘목표 달성이 어렵다’는 부정적 응답이 39.7%에 달해 경기침체의 단면을 보여줬다. 긍정적 응답보다 부정적 응답이 3배 가까이 많았던 것이다.

그렇지만 2014년 IT 시장에 대한 기대는 적지 않았다. 2014년 IT 시장에 대한 견해를 묻는 문항을 살피면, 긍정적이라고 답한 의견이 36.0%로 부정적이라고 응답(30.2%)보다 높게 나타난 것이다. 물론 매우 긍정적이라는 응답은 소수(4.4%)에 그치고 다소 긍정적이란 의견이 대다수를 이뤘지만, IT 산업에 대한 희망을 지니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매우 부정적’이라는 3.7%를 포함해 부정적이라는 의견도 30.2%에 달했다는 점, ‘보통’으로 큰 기대감을 지니지 못한 의견이 가장 많은 33.8% 차자했다는 점은 길고 긴 침체기로 인해 IT 산업인의 정신적 피로감 또한 높음을 알 수 있게 하는 부분이다.


정부에 대한 불만도 높았다. 정보통신부를 해체한 지난 이명박 정부가 IT 산업을 홀대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박근혜 정부는 지난 정부 정통부 해체로 IT 정책이 부재했다는 비판을 수렴하는 동시에 국가 성장을 이뤄낼 창조경제의 핵심으로 IT를 꼽으면서 컨트롤타워 역할을 수행을 위해 미래창조과학부를 신설하는 등 의지를 내비치고 있다.

그렇지만, IT 산업인들은 변화된 정부 정책에 대해 실망을 내비치는 모습이다. 출범 1년을 넘어서고 있는 정부의 IT 정책에 대해 묻는 문항에서 가장 많은 응답(45.6%)을 차지한 것은 ‘혼선이 많으며 비효율적’이라는 의견이다. IT 육성에 대한 의지부족(27.2%), 실천 부족(21.3%) 등이 뒤를 이었으며, 긍정적이라는 평가는 5.9% 그쳤다는 점은 이를 방증한다.

미래창조과학부가 신설됐지만, IT 산업 육성을 위한 정책이 발굴되지 있지 않으며, 발표된 몇몇 정책 또한 지난 발표의 반복이거나 산업 현실과는 유리된 탁상공론적인 정책을 발표하고 있다는 점에서 IT 산업인들의 눈높이를 충족시키지 못했다고 풀이된다.

탁상공론, 숫자맞추기에 의한 실적쌓기 등으로 비판받았던 정부 주도의 빅데이터 자격증 제도 신설 등을 비롯 빅데이터 등 급변하는 IT 환경 변화에 능동적인 대응책을 제시하지 못한 것이 인색한 평가를 받은 배경으로 보인다.

2014년도부터 IT 병역특례 대상인력을 마이스터고, 특성화고 출신으로 제한한다는 발표는 현장과 유리돼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된다. 정부는 학력차별을 없애고, 고졸 채용 문화 활성화를 위해 마이스터고, 특성화고 출신만 병역특례 대상으로 한다고 발표했다.

하지만 이는 산업기능요원 제도를 통해 우수한 대학생 인력을 영입, 벤처 창업 선순환 구조의 파괴라는 비판을 받았다. 또한 급작스러운 발표로 2014년 산업기능요원으로 지원을 목적으로 상당수 업체가 하반기 대학 진학 예정자나 재학생 또는 졸업자를 이미 채용한 경우가 적지 않다는 문제점도 지적됐다.

이에 대한 본지의 설문조사 결과도 다르지 않아 ‘올바른 결정’이라는 응답은 8.8%에 그쳤다. 급작스런 실행 등 방법적 측면의 잘못을 지적한 응답이 33.1%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IT 발전 저해의 소지가 있다는 응답도 24.2%에 달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