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다이나믹 u-코리아로 간다!
상태바
우리는 다이나믹 u-코리아로 간다!
  • 승인 2006.09.04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우리는 다이나믹 u-코리아로 간다!
유·무선, 방송·통신 융합된 차세대 서비스망…국가기관간 정보 공유 및 대국민 서비스 활성화 기대

전자정부통신망은 전자정부 로드맵의 중점과제로 추진된 사업으로 보안성, 안정성 및 생존성이 보장된 국가기관 전용의 통신망을 구축해 국가기관에게 품질이 보장된 정보통신서비스를 저렴한 요금으로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정부통합전산센터(센터장 임차식)는 최근 서울·경기·강원권역의 국가기관 및 지방자치단체 정보통신 담당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서울 코엑스에서 ‘전자정부통신망 이용제도 및 관련 기술 설명회’를 개최해 국가통신망의 발전방향을 점검할 수 있는 자리를 마련했다.
| 김나연 기자·grace@datanet.co.kr |

현재 정보통신부는 협업형·유비쿼터스형 전자정부 실현을 위한 정보통신 기반 인프라를 구축하기 위해 보편적 정보통신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범부처적인 추진체계를 마련해 운영하고 있다. 전자정부통신망 이용을 촉진할 수 있도록 법·제도를 정비하고, 통합전산환경 등 전자정부 사업과 연계, 광대역통합망(BcN) 구축 등 국가 통신 정책과 연계해 지속적으로 전자정부통신망을 고도화시키고 있는 것.
정보통신부 정부통합전산센터 주관으로 지난 6월28일 개최된 ‘전자정부통신망 이용제도 및 기술 설명회’에서는 2007년 도입 예정인 MPLS VPN, 인터넷전화(VoIP)에 대한 시범서비스 계획이 중점적으로 발표돼 정보통신 관련 신기술의 도입 및 통신비용 절감효과 등에 대해 많은 관심을 불러일으킬 것으로 기대된다.

협업형·유비쿼터스형 전자정부 구축 목표
정통부 통합전산센터는 전자정부통신망을 추진함으로써 ▲ 정보 공유 및 유통 활성화로 협업형 전자정부 구축 ▲ 신속성, 접근성이 개선된 유비쿼터스형 전자정부를 구축한다는 큰 그림을 제시했다.
전자정부통신망은 지난 2003년 8월, ‘전자정부 31대 로드맵 과제’로 확정된 이래 2004년 11월 ‘전자정부토인망 고도화’ ISP 수립, 이어 전자정부통신망 구축을 위한 사업계획이 세워졌다. 이에 따라 KT·데이콤·SK네트웍스 등의 통신사업자가 선정돼 통합전산센터 연계회선 등을 서비스 하고 있으며, 오는 2007년부터는 MPLS VPN 및 VoIP 서비스를 앞두고 있다.
정통부 정부통합전산센터에 따르면 “이들 사업자들이 준비하고 있는 서비스 안정성 및 보안성 등의 성능검수를 8월초에 실시하고, 내년 1월 상용서비스를 계획하고 있다”고 밝혔다.

전자정부통신망으로 경제성 제고
정부통합전산센터는 “전자정부통신망을 구축함으로써 각 국가기관 통신망 중복 구축에 따른 구축 및 운영비용, 인력 절감을 기대할 수 있다”며, “이 뿐만 아니라 향후 제공 예정인 통합전산센터 연결용 및 전자정부통신망 백본 공동활용 VPN(가상사설망)을 통해 자체 통신망(인트라넷 및 익스트라넷)으로 대체도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여기서 인트라넷은 국가기관 내의 통신망을, 익스트라넷은 국가기관간 통신망을 말한다.
통합전산센터 한 관계자는 “고가의 전용회선 서비스를 저렴한 VPN 서비스로 대체 가능하고, 향후 제공 예정인 인터넷전화 VoIP를 통해 음성통신비용의 획기적인 절감이 가능할 것”이라며, “뿐만 아니라 사업자 경쟁체계 도입으로 이용 편의성 기반의 저렴한 서비스가 공급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전자정부통신망이 구축되면 국가기관 트래픽과 민간 트래픽, 업무 트래픽과 인터넷 트래픽이 완전 분리된다. 또 상용 인터넷망과의 접점지역(IP연동기반)에 보안접속 환경이 구축되기 때문에 통신망 보안침해 사고에 대한 범정부 차원의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대응체계가 구축된다.
따라서 통합전산센터에 통합보안(서버, 통신망, DB, 개인장비 등) 전담팀이 운영돼 전자정부통신망의 안정적 운영을 위한 상시 감시 및 복구 체계가 확립될 수 있는 것이다.
이같은 전자정부통신망의 기본 서비스는 ATM 서비스, 전용회선 서비스, FR 서비스, 이더넷 서비스, 재해복구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무망’과 인터넷접속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터넷망’으로 구성됐다. 또 통합전산센터 연계용 VPN, 국가기관 공동활용 VPN, VoIP 등이 ‘부가 서비스’로 제공된다.

MPLS VPN, VoIP 서비스 확대돼야
부가 서비스는 전자정부통신망이 지난 3월부터 서비스를 시작했지만, 전용기반의 기본 서비스만 제공돼 통신비용 절감 및 진화된 통신기술 수용이 미흡함에 따라 추진된 것이다.
기존 전용회선, ATM 회선을 공용기반의 MPLS VPN으로 전환함으로서 통신비용 절감이 필요했던 것.
또 ALL IP 망으로의 전환과 신규 수익창출을 위해 VoIP 전화 도입이 요구되고 있으나, 정부는 관련 이용제도를 마련하지 못해 VoIP 도입도 지연되는 상황이었다. 이에 국가기관의 전화를 전자정부통신망(인터넷망) 기반의 VoIP 전화로 단계적인 전환을 위해 부가 서비스 형태가 제공되기 시작했다.
MPLS VPN이란, 개별적인 서비스망(ATM, FR, 이더넷 망)을 통해 제공하던 기존 VPN과 달리 다양한 접속 형태를 하나의 MPLS 백본을 통해 서비스 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 MPLS는 IP 패킷 주소 앞에 고정길이의 등급을 부여해 전송하는 고속스위칭 기술이라 할 수 있다.
인터넷망과 MPLS VPN을 비교해 보면, 인터넷망은 트래픽 관리 기능이 없어 품질이 보장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최선형 서비스(Best Effort)만 제공한다. 또 IP 주소가 노출되므로 보안성 결여 문제가 있다. 그러나 MPLS VPN은 트래픽 관리 기능을 보유해 품질이 보장된 서비스를 제공하고, 터널을 이용한 IP 주소 은닉으로 보안성을 확보했다.
현재 시범서비스되고 있는 전자정부통신망은 이달 초 망검수 등의 성능검수를 통해, 내년 1월 상용서비스 시작을 계획하고 있다. 이 역시 KT, 데이콤, SK네트웍스 중 사업자가 결정될 것이며 지방자치 단체를 포함한 전 정부기관에 적용될 방침이다.
정부통합전산센터 측은 “범 부처적 추진체계 운영으로 공감대를 형성하고, 국가 정보화 예산배정 일정과 연계해 추진하겠다”며, “설문, 인터뷰 등을 통해 국가기관 의견을 수렵하고, 사실확인 자료를 통해 통신환경 변화에 따른 국가기관 의견을 조정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이를 위해 정통부는 전자정부통신망 사업 결과가 2007년 정보화 예산부터 반영될 수 있도록 예산배정 일정과 연계 추진하고, 예산처의 정보화 예산 배정 방향과 합치되는 사업을 위주로 추진하겠다는 방침이다.


MPLS 이용 현황
● 국내-민간 분야
○ KT, 데이콤 등 2002년 말부터 상용망에서 MPLS VPN을 서비스 중
- 쌍용화재는 전국 280여개 지점 연동(2002.11)
- 삼성테스코는 전국 23개 홈플러스 지점망 연동(2003.4)
- LG그룹은 전국 29개 지사 연동(2005.3)
- 현대상선은 아태지역, 유럽, 북미 등 57개 사업장 연동(2006.3)
●● 국내-공공 분야
○MPLS 서비스를 초고속국가망 이용약관에 2003년 7월 신설했으나, 홍보 및 이용기간의 인식 부족으로 활용실적 없음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