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GbE, 포트 단가 지속 하락으로 시장 확산 기반 마련
상태바
10GbE, 포트 단가 지속 하락으로 시장 확산 기반 마련
  • [dataNet] 강석오 기자
  • 승인 2004.12.30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차세대 백본 네트워크로 부상한 10기가비트 이더넷은 올해 역시 기대 이하의 성적을 올렸습니다. 경기 침체가 지속되며 통신서비스사업자, 기업 고객들의 인프라 투자가 위축된 것을 비롯 아직도 포트당 단가가 기가비트 이더넷에 비해 상대적으로 고가이기 때문이죠. 더불어 10기가비트 이더넷 백본에서 사용할 만한 애플리케이션이 부족하다는 것도 시장 확산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아직은 기가비트 이더넷이 백본의 대세를 이루고 있고, 10기가비트 이더넷의 확산 속도가 더딘 것이 사실이지만 관련 업계에서는 올해 본격적인 성장을 위한 기반은 다져진 것으로 평가하고 있습니다. 공공, 대기업, 포털 등에서 10기가비트 이더넷 도입을 시작한 가운데 레퍼런스가 늘어나며 안정성 검증도 어느 정도 이뤄졌기 때문으로 내년부터는 통신서비스사업자들도 10기가비트 이더넷 도입을 위한 움직임을 본격화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현재 10기가비트 이더넷은 대규모 캠퍼스 백본이나 캠퍼스간 접속, 데이터센터 등에서 하이엔드 모듈러 플랫폼이 주류를 이루고 있는 가운데 각 벤더별로 10기가비트 전용 장비들이 출시되면서 시장 확대를 주도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내년부터는 기업의 데이터센터, 서비스사업자의 백본, 슈퍼컴퓨터 센터, 그리드/클러스터 컴퓨팅 환경 등에서 10기가비트 이더넷 도입이 확산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습니다.

특히 그리드/클러스터 컴퓨팅의 성능이 향상되면서 최고 회선 속도의 고밀도 스위치 및 라우터가 네트워크 백본의 성능 및 안정성 보장에 필수적인 장비로 인식되고 있어 적은 수의 고밀도 스위치로 기존 보다 많은 노드의 연결이 가능해 저밀도 장비에서 필요한 액세스 계층을 없애고 네트워크를 단순화할 수 있는 10기가비트 이더넷이 점차 확산될 전망입니다.

대역폭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기업의 경우, 고밀도 스위치를 통해 향후 네트워크 확장과 장기적인 투자 보호를 위해 10기가비트 이더넷으로 갈 수밖에 없을 전망으로 네트워크 운영에 필요한 스위칭과 라우팅 장비 수 감소를 통한 자본 및 운영비용 절감이 매력적인 요소로 부각되고 있습니다.

관련 업계에서도 더욱 향상된 확장성과 성능, 네트워크의 단순함에 대한 요구 사항이 기가비트 이더넷은 물론 10기가비트 이더넷 밀도에 대한 수요를 촉진, 기가비트 이더넷이 패스트 이더넷을 대체하기 시작하면서 그 추세가 빠르게 확산됐듯 10기가비트 이더넷도 똑같은 양상을 보일 것으로 예측하고 있습니다. 특히 BcN 프로젝트가 본격 가동되면 대역폭 집약적인 애플리케이션과 프리미엄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 통신서비스사업자들의 10기가비트 이더넷 수용도 급물살을 탈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이외에도 금융, 미디어, 포털, 연구기관 등의 서버 통합과 데이터센터에서도 10기가비트 이더넷 수요가 점차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는 가운데 캠퍼스 백본, 메트로 이더넷 서비스, 인터넷 교환노드(IX) 등도 고밀도의 10기가비트 이더넷의 성장을 주도할 주요 고객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처럼 네트워크 코어에서 네트워크 용량을 확장하고 탄력성과 보안,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10기가비트 이더넷 도입을 고려함에 따라 기가비트 이더넷은 에지단으로 점차 확대될 전망으로 침체된 네트워크 시장이 활기를 되찾을 수 있을지 기대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10기가비트 이더넷 확산의 열쇠는 역시 포트당 단가입니다. 아직은 고가지만 부품 가격 하락과 라인 카드 밀도가 증가하면서 포트당 단가 하락 속도에 가속이 붙고 있어 기가비트와 경쟁이 가능해질 것으로 관련 업계에서는 관측, 올해를 거치면서 10기가비트 이더넷이 전면으로 부상할 것으로 조심스럽게 전망하고 있습니다.

컨버전스 시대를 대비하기 위해서는 백본 네트워크가 10기가비트 이더넷으로 옮겨갈 수밖에 없다는 대세론이 여전히 우세한 가운데 올해 지연된 기업, 공공, 대학 등의 프로젝트들이 내년에는 재개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는 가운데 차세대 시장 선점을 위한 선·후발 벤더간 주도권 쟁탈전이 전방위로 확산될 조짐입니다. <강석오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