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부, “2027년까지 AI 신규인력 1만2800명 부족”
상태바
고용부, “2027년까지 AI 신규인력 1만2800명 부족”
  • 박광하 기자
  • 승인 2023.08.31 22:5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4개 주요 신기술 분야 향후 5년간 신규 인력수급 전망 발표
고용노동부 청사 전경. /고용부
고용노동부 청사 전경. /고용부

[데이터넷] 고용노동부와 한국직업능력연구원은 31일 직업능력심사평가원에서 제4차 ‘신기술 인력수급 포럼’을 개최하고, 포럼에서 산업전문가, 기업 관계자 등과 함께 신기술 분야 업계의 인력현황과 원활한 인력수급을 위한 방안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이날 포럼에 앞서 고용부와 한국직업능력연구원은 인공지능(AI) 등 4개 주요 신기술분야에 대한 2027년까지의 인력수급 전망 결과를 발표했다.

전망 결과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업통상자원부 등이 실시한 산업별 실태조사를 바탕으로 인력전망모형을 활용해 인력수요를 도출하고, 정부·민간·대학의 인력양성 현황과 계획을 토대로 인력공급을 분석해, 향후 5년간의 수준별 신규인력 수요·공급과 수급차를 전망한 것이다.

2027년까지의 4개 신기술 분야 신규 인력수급 전망 결과를 살펴보면, AI 분야에서는 1만2800명이 부족하다. 특히 연구개발(R&D) 등 고급인력의 부족이 두드러진다. 의료·금융·제조·서비스 등 다양한 분야에서 AI 활용 확대, 국제적으로 AI 기술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상황인 만큼, 고급인력 해외유출 우려 등 고급수준 인력난이 심화될 전망이다.

클라우드 분야에서는 1만8800명이 부족할 전망이다. 서버·소프트웨어 등 클라우드 서비스 확산 및 지속적인 시장 성장으로 인력 부족이 심화된다는 것이다. 특히 서버의 관리·보수 등을 위한 운영인력과 시스템 개발인력 모두 부족한 상황이라고 짚었다.

빅데이터는 분야에서는 ‘융합데이터전문가’ 수요 급증으로 1만9600명이 부족할 것으로 보인다. 디지털 혁신의 기초인 데이터에 대한 중요성이 전 산업으로 확산되면서, 분야별 전문지식을 겸비한 고급 데이터 인력에 대한 수요가 확대된 데 따른 예측이다.

나노분야에서는 첨단산업 성장으로 ‘응용기술인력’ 수요 증가 등의 영향으로 8400명이 부족할 것으로 예상된다. 나노기술은 단독 상업화는 어려우나, 디스플레이, 에너지, 환경, 바이오헬스, 소재 등 첨단분야의 성장으로 응용·복합 나노 기술인력의 수요가 매우 크게 증가할 전망이다.

김성호 고용부 고용정책실장은 “정부는 신기술분야 인력수급 전망결과를 K-디지털 트레이닝 등 정부 훈련사업의 규모와 내용 등에 적극 반영하고, 범부처 ‘첨단산업 인재양성TF’를 통해 관련부처와 함께 신기술분야 인력양성을 위해 노력하겠다. 또한 중소기업과 스타트업 기업은 인력유출로 인한 인력난이 더욱 심각하므로, 청년층에 적합한 근로여건, 조직문화 등을 기업 스스로 조성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황성수 한국직업능력연구원 미래인재연구본부장은 “전망결과와 현장의 실제 수급차 간 비교·분석 등 전망기법을 계속 고도화하고, ‘신기술 인력수급 포럼’에서 나온 기업 현장의 생생한 의견이 정부 인력양성 정책에 반영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