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원 시험 개선 통해 SW 인력 양성하자”
상태바
“공무원 시험 개선 통해 SW 인력 양성하자”
  • 데이터넷
  • 승인 2022.01.20 09: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오재철 아이온커뮤니케이션즈 대표, 공시생 시험 개선·URL 기반 문서 업무 필요성 강조
오재철 아이온커뮤니케이션즈 대표이사
오재철 아이온커뮤니케이션즈 대표이사

[데이터넷] 최근 이슈가 된 소프트웨어 개발자 부족 문제는 비단 IT 업계만의 문제가 아니다. 4차 산업혁명이라는 큰 파도는 유통·제조·국방·관광 등 전 산업 분야를 덮쳤고, 그로 인해 소프트웨어 개발자의 공급과 수요 격차는 더욱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가 발간한 자료에 따르면 인공지능(AI), 빅데이터, 클라우드, 증강현실(AR)/가상현실(VR) 등 주요 IT 분야에서 부족한 국내 소프트웨어 개발자는 향후 5년간 3만1833명에 달할 전망이다.

이처럼 소프트웨어 개발자 부족 문제 해결을 위해 현재 공급 과잉인 공무원 시험 준비생(이하 공시생) 문제와 엮어보는 것이 어떨지 제안하는 바다.

국가·공시생 미래 위해 SW 과정 필요
우리나라 공시생 수는 약 45만명으로 추정되는데 이는 국가 경제활동인구의 약 9%, 전체 청년인구의 6.8%에 해당한다. 한 취업사이트가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 취업준비생(이하 취준생)의 85.8%가 공무원 시험을 준비 중이거나 준비할 의향이 있다고 답했는데, “학생과 군인을 빼면 공시생밖에 남지 않는다”는 말이 결코 농담으로 들리지 않는다.

그러다보니 공무원 시험 경쟁률도 엄청나다. 9급 국가직 공무원의 경우 합격률이 약 2% 정도인데, 이는 공무원 시험의 목적인 ‘훌륭한 자질을 가진 사람을 공무원으로 고용한다’는 목적을 충실히 달성하고도 남는 경쟁률이다.

그렇다면 불합격자 98%는 지식근로자의 자질을 갖지 못한 사람일까? 상황이 이렇게 됐다면 공무원 시험의 목적이 2%의 사람을 선발한다는 목적 외에도 불합격자 98%의 미래까지 생각하는 복합적인 목적으로 변화해야 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즉 공무원 시험의 목적이 합격하지 못한 98%의 미래도 책임질 수 있어야 한다는 의미다. 공시생 증가로 인한 사회적 기회비용도 17조원에 이른다고 하니 결코 가벼이 넘길 수 없는 문제다.

이에 공무원 시험의 공통과목에 소프트웨어 개발, AI, 빅데이터, 사물인터넷(IoT)과 같은 개념과 실제가 포함됐으면 하는 바람이다.

전 국민 IT 수준 높이는 대전환 기대
공무원 시험에 소프트웨어 등이 추가된다고 상상해보자. 이는 결국 전 국민의 IT 수준을 높이는 대전환 사례가 될 것이며, 국가가 공무원 시험에 합격하지 못한 98%의 인재들에게 줄 수 있는 또 다른 기회다. 우리나라 취준생의 85.8%가 소프트웨어 개념을 익히며 기술을 공부하고, 비록 시험에 합격하지 못했다 하더라도 시장의 수요가 충분한 소프트웨어 기술자로서의 전환이 가능하다. 실로 놀랍지 않은가.

무엇보다 소프트웨어는 국내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전 세계 어디서든 통할 수 있는 기술이다. 공시생의 하루 평균 공부시간이 10시간이 넘는다고 하니, 그 과정에서 발견될 수많은 재원들이 기대될 따름이다. 어떠한 시험 과목을 늘리고 대체할 것인가의 고민이 아니라 국가의 앞날을 위해 젊은 인재가 어떤 교육을 받아야 하는지를 고민할 필요가 있다.

이처럼 공무원 시험이 개편된다면 10년 후, 20년 후 대한민국의 IT가 가지게 될 위상 또한 지금과는 크게 달라질 것으로 예상된다.

보고서 수정에 따른 파일 이름 변화
보고서 수정에 따른 파일 이름 변화

URL 기반 문서 업무 전환 필요
한편, 독자 중 위 그림을 보고 “어떤 일이 있었는지 알겠군”이라고 이해한다면 파일 기반 업무(File Base Work)에 이미 익숙해져버린 지식근로자 중 한명이라고 생각된다.

“당신이 무엇을 상상하든 이 파일은 최종 파일이 아니다”라는 자조 섞인 표현 뒤에는 끊임없는 문서 수정과 그에 수반되는 무한의 행군과 같은 이메일 공유/USB 메모리 전달/웹하드 신공 등과 같은 문서공유 작업이 또 다시 기다린다.

13개의 챕터로 구성된 파일을 9명이 각자 두 번 수정하는 공동 작업을 하면 한 사람의 메일 함에 몇개의 관련 이메일이 도착하게 될까? 파일 첨부 누락 등 이메일을 보내는데 아무런 실수가 없었다고 하더라도 13 × 9 × 9 = 1053개다. 9명이므로 무려 1만 개가 넘는 메일이 네트워크를 가로지르고 저장소를 점유한다. 필요한 것은 최종본 단 하나인데 말이다.

이러한 일이 우리나라에서 가장 능력 있고 일을 많이 하는 집단들인 학교, 공공기관 등에서 매일 벌어지고 있다. 사용되는 장비의 비용이나 인건비 등을 고려하면 너무 아까운 일이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너무나도 간단하다. 파일 기반이 아닌 URL 기반으로 문서업무를 변경하는 것이다. 이미 오피스 365, 구글 독스 등 해외의 주요 문서제작도구 서비스 제공자들은 모두 URL 기반 적용을 마쳤고, 우리나라의 문서제작도구 업체들도 서비스를 시작했거나 곧 시작할 예정이다.

더 이상 문서 작업은 개인 소유를 위한 작업이 아니다. 현재의 문서 작업은 공동 소유와 지식 공유를 위한 사전 작업에 더 가깝다. 파일 기반 문서 업무에서 URL 기반 문서업무로 전환해야 하는 이유다.

새로 당선된 대통령 또는 대통령이 임명한 장관이 “URL 기반의 문서로만 보고 받는다”고 선언하면 30년 전 “이메일로만 보고 받는다”라고 했을 때의 충격과 효율이 나오지 않을까 상상하며 실제로 이런 일이 일어나기 바라는 바람을 가져본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