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류기훈의 하이퍼그린(6)] 中·日, 다양한 정책으로 데이터센터 활성화
상태바
[류기훈의 하이퍼그린(6)] 中·日, 다양한 정책으로 데이터센터 활성화
  • 강석오 기자
  • 승인 2021.11.16 09:3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류기훈 데우스시스템즈 대표이사
▲ 류기훈 데우스시스템즈 대표이사

[데이터넷] 2021년 일본 경제산업성에서 발표한 데이터에 따르면 소비전력 기준으로 전 세계 데이터센터의 51% 전력은 북미지역에서 소비되고, 아태지역에서 약 28%가 소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태지역으로 좁혀보면 전체 데이터센터의 절반은 중국에 위치해 있고, 그 뒤를 이어 일본, 호주, 싱가포르, 홍콩이 각각 10% 내외의 점유율을 가지고 있다. 우리나라는 약 5% 정도를 점하고 있는 실정이다.

中·日, 데이터센터 적극 유치 
중국은 2025년까지 데이터센터 IT 투자액이 120조 이상을 기록할 전망이다. 중국 정부는 데이터센터 신규 구축에 필요한 넓은 토지와 저렴한 전기요금, 빠른 인허가 절차 등을 적극 지원해 여타 국가들을 압도하겠다는 정책을 펴고 있다. 그러나 중국 특유의 데이터 폐쇄성으로 인해 그 장점을 활용하고 있지 못하는 상황이다. 

중국 정부의 신인프라건설(新基健) 정책에 따라 차이나텔레콤, 차이나유니콤 등 통신사들이 주도하던 데이터센터 시장에 바이두, 알리바바, 텐센트 등이 공격적인 투자를 감행하며 변화가 일고 있다. 특히 중국 동부 대도시 위주의 불균형 성장 우려로 인한 중앙정부의 통제 아래 토지 및 전력이 부족한 대도시에 데이터센터 설치를 제한하는 규정이 마련되고 있어 중서부 지역의 데이터센터 신규 구축이 활성화되고 있다. 최근 아마존은 중국 서북지역 닝샤시에 친환경 신재생 에너지를 활용한 클라우드 데이터센터 집적단지를 구축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일본은 중앙정부를 중심으로 글로벌 데이터센터 유치 촉진책 논의가 활발하다. 특히 데이터센터의 지역 분산을 추진하며 태양광, 해상풍력 등 많은 에너지를 발전하는 지역 가까이에 데이터센터를 유치함으로써 송전 비용을 줄여 공급을 쉽게 한다는 전략이다. 현재 일본의 데이터센터는 도쿄, 오사카 등 대도시에 80% 이상이 집중돼 있지만 지자체와 협의를 통해 신재생에너지 생산이 풍부한 홋카이도 등에 데이터센터 신규 구축을 추진하고 있다.  

데이터센터 지방이전의 기본 논리는 대용량의 전력을 사용하는 데이터센터의 기본적인 비용을 줄이는 것을 통해 기업 데이터의 해외유출을 차단하고, 데이터안보 역량을 높이겠다는 것이다. 데이터센터에 보관되는 데이터의 해외법 규제에 따른 위험요소를 제거해 글로벌 사업자들이 원하는 넓은 토지와 신재생 에너지, 유연한 운영환경 등을 제공할 수 있는 제도를 마련해 데이터를 자국법의 보호 아래 둔다는 것이다.

한국, 데이터센터·데이터 정책 마련 시급
우리나라의 경우 데이터센터 산업의 핵심 고객인 글로벌 클라우드 사업자나 OTT 사업자가 서비스하고 있는 데이터의 어느 정도를 국내에 보관하고 있는지에 대한 정확한 통계는 없다. 다만 상당한 비중의 데이터들이 일본, 홍콩 등 해외에서 서비스되고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국내 기업의 데이터가 해외 데이터센터에 보관돼 있다면 해외법의 규제를 받게 되면서 데이터 보안에 치명적인 약점을 내포하고 있다는 의미가 된다. 중국과 일본의 사례처럼 적극적인 데이터센터 유치를 통해 데이터를 국내에 보관할 수 있는 정책 마련이 필요한 시점이다.

[류기훈의 하이퍼그린] 총 12회에 걸쳐 국내외 데이터센터 산업 동향과 전망, 전기·통신/기술 차원에서의 전략적 접근, 그린 데이터센터를 위한 고려사항과 접근전략 그리고 ICT와 건축 DNA를 결합시켜 시너지를 낼 수 있는 방안에 대한 기고를 진행한다. 6회 차에서는 중국과 일본의 데이터센터 시장 동향을 살핀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