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보호 기술, 국가 안전 근간으로 인식하고 육성해야”
상태바
“정보보호 기술, 국가 안전 근간으로 인식하고 육성해야”
  • 데이터넷
  • 승인 2019.12.22 08:5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윤두식 지란지교시큐리티 대표 “국내 정보보호 정책 패러다임 전환 필요해”
윤두식 지란지교시큐리티 대표
윤두식 지란지교시큐리티 대표

[데이터넷] 2019년의 시작은 정보보호 산업계에 큰 기대를 갖게 하기에 충분했다. 5G가 본격 서비스되면서 4차 산업혁명으로 대변되는 AI, IoT 빅데이터 핵심에 정보보호가 자리 잡게 됐다.

4월에는 청와대 국가안보실이 ‘국가사이버안보전략’을 발표하면서 범부처 차원의 정보보호 청사진을 제시한 바 있다.

그러나 보안 업계는 여전히 미래가 불투명하다고 보고 있다. 아직 초기인 5G, 4차 산업혁명의 수혜를 정보보호 산업이 받기에 이른 시점이다.

청와대 사이버안보비서관 폐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정보보호정책관 전담역할의 폐지로 인해 청와대 ‘국가사이버안보전략’을 무색케 했다.

유지보수·보안성 지속서비스 매출 비중 낮아
2019년 정보보호 시장 전체 규모는 전년대비 4.2% 성장한 5조 7500억원으로 전망된다. 시장 전망치는 업계가 느끼는 체감 현실과는 많은 차이가 있다.

시장 예측 전망치를 참고할 때 2019년도 정보보호제품(솔루션) 예상매출은 1조4645억원이다. 유지보수·보안성 지속서비스 매출은 1088억원이다. 솔루션 매출 대비 유지보수 보안성 지속서비스 대가의 매출 비중은 6.9%에 그친다.

산업이 지속 성장하기 위해서는 신시장 개척과 기존 고객으로부터의 유지보수 매출이 매우 중요하다. 현재의 기술 경쟁력을 강화하고, 신기술에 대한 재투자, 연구인력 양성, 신시장 개척 등 튼튼한 인프라를 위해서는 유지보수·보안성 지속서비스 대가 수준이 20~30% 이상은 되어야 한다고 말한다. 그러나 현실은 아직 이를 뒷받침하지 못하고 있다.

정보보호, 국가 기반 책임지는 기간 산업
미국은 2018년 9월 연방정부 차원에서 ‘국가 차원의 사이버보안 전략’을 발표하고 안보강화와 기술 발전을 위한 청사진을 제시했다. 이미 연방정부는 미국 사이버보안 시장의 최대 투자가이자 소비자로 연간 140억 달러의 예산을 집행해 관련 산업과 기술을 선도하고 있고, 2022년까지 220억 달러에 이르는 사이버안보예산을 집행할 것으로 예측했다.

중국정부는 ‘사이버보안 산업 발전 촉진 지도 의견 (공업·정보화부)’ 초안을 발표하면서 사이버 안보 없이 국가 안보도 없으며 경제사회의 안정적 운영도 없고, 많은 인민이 이익을 얻는 것도 어렵다고 선언했다. 그러면서 중국 내 사이버보안 산업을 2025년 2000억 위안(약 30조원) 규모 이상으로 발전시키겠다는 목표를 천명했다.

이들이 사이버 안보에 집중하는 이유는 국가 간 사이버 전쟁이 현실화되면서 지정학적 요구에 따른 사이버보안이 21세기 외교정책의 중요한 축으로 자리매김하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20세기 안보가 핵 억제력 보유였다면, 21세기는 사이버전 억제력이 중요한 국가안보의 전략적 자산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러한 추세와 필요성에 비춰봤을 때 정보보호는 국가안보 측면에서 집중하고 키워야 할 분야다. 현재와 같이 청와대와 부처 간 정책적 언밸런스가 지속된다면 정보보호산업의 부실과 국내 사이버안보가 위험해지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제 정보보호 기술과 시장을 국가 안전의 근간으로 인식하고 육성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의 전환이 요구되는 시점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