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정통부·KT, 빅데이터 기반 미세먼지 대응 서비스 제공
상태바
과기정통부·KT, 빅데이터 기반 미세먼지 대응 서비스 제공
  • 윤현기 기자
  • 승인 2017.11.06 13:2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제주도·창원시·광명시에 구축한 IoT 기반 공기질 측정망 등 활용…미세먼지 관리 체계 수립 지원
▲ KT 기가 IoT 에어 맵 관제 솔루션 화면(창원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정보화진흥원(NIA)은 2017년 빅데이터 플래그십 프로젝트를 통해 ‘빅데이터 기반 국민 체감형 미세먼지 대응 서비스’를 KT와 함께 구축했다고 6일 밝혔다.

현재 미세먼지 농도 현황은 전국 97개 시·군에 설치된 323개 측정소에서 측정돼 한 시간 간격으로 한국환경공단의 에어코리아(www.airkorea.or.kr)를 통해 제공되고 있다. 다만 측정 장비의 정확도에도 불구하고 장비의 수가 많지 않고 가깝게는 수 킬로미터, 멀게는 수십 킬로미터 떨어진 광역 공기질을 표현하기에 개인 체감도와는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이번에 구축된 ‘빅데이터 기반 국민 체감형 미세먼지 대응 서비스’는 올해 말 제주도, 창원시, 광명시에 시범 적용한다. 해당 지역의 기존 측정소 15곳 외에 통신사 기지국 등에 수수십 미터에서 수백 미터 간격으로 촘촘히 설치한 115개의 사물인터넷 기반 소형 공기질측정기 정보를 활용해 음영지역 없는 실시간(1분 간격) 미세먼지 관측이 가능하게 됐다.

이번 시범사업에서 사물인터넷 기반 소형 공기질측정기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근거리 지역 간에도 미세먼지 농도가 다르며, 특히 대기오염물질 배출시설 인근의 미세먼지 농도가 타 지역 대비 높은 경향이 있음이 확인됐다.

수집된 공기질 데이터는 통화량 기반의 유동인구 정보(성별, 연령, 시간대 등), 날씨데이터, 질병정보 등과 결합되어 다양한 미세먼지 대응 서비스 제공에 활용된다.

우선 미세먼지 농도가 높은 시간대의 사람이 많이 다니는 지역 중심으로 살수차 이동경로와 운용 빈도를 최적화하는 등 지자체 환경정책 의사결정을 지원한다. 또한 기존 영유아, 청소년, 노인 등 건강 취약계층 뿐만 아니라 연령별, 성별, 공기질 관련 질환 여부 등에 따른 위치기반 개인 맞춤형 상세 대응요령을 문자메시지로 제공한다.

앞으로 과기정통부는 올해 시범사업 성과를 바탕으로 지차체·KT 등 민관과 협력해 미세먼지 대응서비스 제공지역의 전국 확대를 지원한다. 아울러 소형 공기질측정기 데이터를 정부 및 지자체 등과 공유해 쾌적한 대기환경 조성을 적극 지원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KT는 우선 내년 1분기까지 서울 및 6개 광역시 주요 거점 1500곳에 미세먼지 측정기를 설치할 예정이다.

최영해 과기정통부 인터넷융합정책관은 “빅데이터 플래그십 프로젝트로 대기·환경 분야까지 빅데이터 활용범위를 넓혀 미세먼지 대응을 기대할 수 있게 됐다”며 “앞으로 국민들이 미세먼지로 인한 걱정과 불편을 줄여 나갈 수 있도록 지원을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