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에 대한 국민 인식은 ‘기대반 우려반’
상태바
인공지능에 대한 국민 인식은 ‘기대반 우려반’
  • 강석오 기자
  • 승인 2017.04.19 14:4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사회에 끼칠 영향력 ‘긍정적’…미래 위험에 대한 경계심 높아

인공지능(AI)이 사회에 끼칠 영향력이 긍정적인 반면 AI가 초래할 미래 위험에 대한 우려와 경계심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균관대 SSK위험커뮤니케이션연구단(단장 송해룡 교수, 이하 위험컴연구단)이 ‘인공지능, 믿을 수 있나? 위험하지 않을까?’라는 주제로 인공지능에 대한 신뢰 수준을 측정하는 국민인식 조사(2017년 4월 11일~13일, 국내 거주 만 20세 이상의 성인남녀 1,000명 대상, 신뢰수준 95.0%에서 표본오차 ±3.10%p)를 진행한 결과 기대와 우려가 공존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AI가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평가하는 경향 높아
AI가 우리 사회에 끼칠 영향 정도에 대해 평가한 결과 68.6점으로 대체로 긍정적 평가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로는 ‘남자’가 72.4점으로 ‘여자(64.7점)’보다 긍정적으로 평가했으며 연령별로는 ‘50대 이상’이 73.1점으로 가장 긍정적 평가를 보인 반면 ‘20대’는 62.5점으로 가장 낮은 긍정적 평가를 보여 연령이 높을수록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AI의 대표적 응용 기술인 ‘AI 로봇’에 대한 신뢰도는 63.7점으로 비교적 높은 신뢰를 보이는 것으로 평가됐다. 성별로는 ‘남자’가 65.0점으로 ‘여자(62.3점)’보다 약간 더 신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별로는 ‘50대 이상’이 68.7점으로 가장 높은 신뢰도를 보였고, ‘20대’는 54.1점으로 가장 낮은 신뢰도를 보여 연령이 높을수록 신뢰도가 높게 나타났다.

AI가 초래할 사고 위험에 대해서는 경계심 높아
우리 국민은 AI의 사회적 영향력은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데 반해 향후 무인자동차와 로봇 등 AI가 초래할 수 있는 사고 위험에 대해서는 심각하게 보는 것으로 나타났다.

AI가 초래할 사고의 위험 정도에 대해 조사한 결과 38.4점으로 다소 위험할 것이라는 인식을 드러냈다. 성별, 연령별로 유사한 경향을 나타냈다.

미래에 AI가 가져올 위험 중에서 가장 고민하고 대처가 필요한 부분에 대한 질문에는 ‘AI 오류로 인한 인명 피해(인간 공격, 교통사고)’가 전체 응답의 48.6%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인간의 일자리 대체’가 33.7%로 나타났다. 그 밖에 ‘AI 서비스 소외계층 발생’ 9.4%, ‘강한 AI의 인간 정책 및 의사결정 참여’ 8.1%의 순으로 나타났다.

성별로는 모든 그룹에서 ‘AI 오류로 인한 인명 피해’가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지만 연령별로는 ‘인간의 일자리 대체’가 20대에서 ‘AI 오류로 인한 인명피해’보다 높은 비율을 보였고 30대에서도 ‘인간의 일자리 대체’ 항목에 대한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20∼30대에게 심각한 이슈인 취업 문제에 대한 인식이 반영된 것으로 해석된다.

조사를 기획한 위험컴연구단 김원제 책임연구원은 “알파고와 무인자동차와 같은 AI이 상용화 단계에 접어들면서 우리 국민은 AI의 사회적 영향력을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음이 드러났다”며 “반면 AI의 미래 사고 위험에 대해서 우려하는 응답이 높았는데 불확실한 미래 위험에 대해서도 우려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결국 AI에 대해 우리 국민의 인식은 긍정적 인식과 우려가 교차하는 복합적 감정 상태인 것으로 풀이된다”고 분석했다.

인공지능 위험에 대해 정부의 신속 대응 필요 … 법·제도 마련해야
AI가 초래할 수 있는 위험들에 대해서 중요하게 책임을 져야 할 주체들을 묻는 질문에서 ‘정부’가 전체 응답의 36.1%를 차지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는 ‘기업’이 27.7%, ‘개발자(과학자)’ 22.2%, ‘사용주체(시민)’ 13.5%의 순으로 나타났다.

위험컴연구단 조항민 선임연구원은 “AI가 초래할 위험들은 아직 심각하지는 않지만 최근 무인자동차 사고 등의 사례를 통해 국민이 AI에 대한 우려를 갖게 된 것으로 보인다”며 “향후 AI와 로봇의 확산으로 인한 사회경제적인 부작용과 규범적 이슈는 중요한 위험 이슈가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AI가 초래할 위험의 가장 중요한 책임주체로 정부를 꼽은 것은 정부 주도의 법·제도 마련이 시급하다는 의미다. 중요한 기술 위험 쟁점이 될 수 있는 AI의 판단, 책임, 권한 부여의 문제를 정부를 중심으로 선제적으로 대비하는 것이 긴요하다”고 제언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